제로페이 사용법 초보편

점점 현금을 쓸 일이 줄어듭니다. 현금을 들고 다니는 일이 적고 보통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를 하게 되는데, 이제 여러 종류의 결제 시스템이 등장해서 이젠 신용카드도 들고 다닐 일이 없을 것 같습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제로페이 사용법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제로페이란 박원순 시장이 서비스를 시작한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 제로의 결제서비스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선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통일할 수 있는 정부 주도의 표준안이 만들어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겠습니다.

 

 

제로페이 사용법

 

 

제로페이를 만든 가장 큰 목적은 역시 소상공인 가맹점의 수수료 부담 완화입니다. 소비자는 QR코드 방식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됩니다.

 

 

즉 중간 마진 없이 판매자와 소비자간의 직접 결제가 이뤄지니 모두에게 좋은 일이겠죠? 전년도 매출 기준 8억 이하의 경우 수수료는 없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소상공인이란 운수업, 제조업, 건설업, 광업은 상시근로자수 10인 미만을 의미하며 보통 상시근로자수 5인 미만을 사업장을 소상공인이라고 지칭합니다.

 

 

제로페이를 소상공인만 할 수 있는 건 아니고 대형 가맹점, 프랜차이즈도 가능합니다. 다만 수수료가 있죠.

 

제로페이 사용법

 

 

제로페이 사용법 3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가맹점에 비치된 QR 키트 결제 방식입니다. 손님이 제휴 결제 플랫폼사의 모바일 앱을 통해서 가맹점주가 비치해둔 고정형 QR코드에 스캔한 후 직접 금액을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다음 방법은 포스를 사용해 가맹점에서 제시하는 QR코드를 어플로 스캔하여 결제하는 방법입니다. 가맹점 비치 QR키트 결제는 결제금액을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포스 방식은 자동으로 결제가 된다는 점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마지막 제로페이 사용법은 손님이 직접 자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을 실행해 QR코드나 바코드 형식의 결제코드를 만들고 가맹점이 이를 리더기로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뱅크페이, 페이코, 머니트리 등 많은 모바일 결제앱이 제로페이를 지원해 자신에게 맞는 앱으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와 제로페이

 

 

자주 사용하는 네이버 어플로 제로페이 결제도 가능합니다. 이미 앱을 사용하고 있었다면 회원가입, 앱 설치 모두 필요없습니다. 하지만 네이버 앱이 없거나 로그인을 하지 않았다면 조금의 사전 분비를 해야 합니다. 네이버 앱 설치후 회원이 되고 로그인을 해둬야죠.

 

 

네이버페이 시작하기에서 하단의 카드/계좌등록을 선택해 은행계좌나 체크/직불/현금 카드를 등록합니다. 이때 결제를 위한 비밀번호 6자를 설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제로페이로 결제할 때마다 이 비밀번호를 눌러줘야 결제가 됩니다. 그러니 잊어버릴 염려가 없는 비밀번호를 설정해야겠습니다.

 

 

 

실제 제로페이 사용법은 고객이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 후 가맹점주에게 직접 돈이 빠져나가는 직불거래 형태를 띕니다. 따라서 계좌이체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카드는 사용 자체가 안됩니다. 네이버 앱 실행시 우측 상단에 QR결제가 뜨는데, 이를 터치 후 화면을 넘길 경우 비밀번호을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미리 세팅해둔 비밀번호를 누르면 바코드가 생성되고 이를 가맹점주에게 보여주면 직원이 이 바코드를 스탠하고 바로 결제가 완료됩니다.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데이터를 많이 잡아먹는 어플을 설치하기 꺼리는 유저들에겐 이 방식이 편리합니다.

 

혜택

 

 

 

 

 

체크카드나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을 경우 소득 공제율이 현재 30%입니다. 신용카드는 절반인 15% 밖에 되지 않습니다만 제로페이 점포에서 사용한 금액은 무려 40%까지 공제를 해줍니다. 소상공인이 아닌 일반 가맹점은 30%입니다.

 

 

 

제로페이를 사용할 경우 이용요금 할인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서울시립과학관, 월드컵경기장, 서울상상나라 입장료 30%, 서울대공원, 서울식물원, 남산예술센터 등 입장료 20~30% 할인 혜택이 있으니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서울 자전거 따릉이는 50% 할인이 됩니다.

 

 

 

제로페이 사용법을 살펴보니 해보지 않아서 그렇지 생각보다 간단한 구석이 있습니다. 제로페이 사용법을 배웠으니 저도 어얼리어답터처럼 앞으로 제로페이를 사용해볼까 싶습니다. 참고로 제로페이는 매일 0시 15분부터 11시 50분까지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점검시간 25분에 결제를 시도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나만의 도서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 신고기간 체크  (0) 2020.09.25
요양병원 본인부담금 체크  (0) 2020.09.24
노후 경유차 폐차지원금 비밀  (0) 2020.09.22
퇴직소득세율 자세히  (0) 2020.09.21
명언 모음 인기  (0) 2020.09.20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