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파일이 열리지 않을때 주의사항

요즘 관공서의 홈페이지만 가도 첨부 파일이 pdf인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pdf 파일은 adobe 사에서 만든 전자 문서 파일로 보안성이 좋은 것이 장점입니다. 수정이나 편집 인쇄가 불가능하도록 비밀번호가 걸려 있다보니 보안을 요하는 곳에서 애용하는 듯 합니다.

 

 

그런데 이런 pdf파일이 열리지 않을때 얼마나 당혹스러울까요? 이때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 이번 기회에 확실히 배워보겠습니다.

 

 

어도비리더

 

 

 

pdf파일이 열리지 않을때 가장 먼저 의심해봐야 할 것은 pdf파일을 열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입니다. pdf뷰어는 pdf파일을 열어볼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꼭 pdf뷰어를 깔아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긴 합니다.

 

 

윈도우8 이상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컴퓨터라도 pdf 뷰어가 필요 없지만 그 이하 컴퓨터에서는 pdf 뷰어가 설치되어 있어야 pdf 문서를 열어볼 수 있습니다. 추천해드릴 pdf 뷰어는 adobe reader입니다. pdf 파일을 만든 곳고 같은 회사죠.

 

 

 

동일한 회사이므로 pdf 파일을 읽고 사용하는데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어도비 리더는 어도비 공식 홈에서 다운로드 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검색시 adobe만 쳐도 공식 사이트가 바로 나오는걸 볼수 있습니다 무료 버전이 있고 프로 버전이 있습니다.

 

 

선택 옵션은 해제하고 어도비 리더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다운로드를 하면 바로 어도비 리더가 인스톨 되기 시작하고 launch adobe acrobat reader dc에 체크되어 있다면 바로 실행까지 되어 pdf 파일 보기가 가능해집니다. pdf파일이 열리지 않을때 가장 기본적인 해결책입니다.

 

랜섬웨어

 

 

그런데 이 외에 pdf파일이 열리지 않을때가 종종 있습니다. 이것은 대부분 랜섬웨어 증상입니다. 랜섬웨어란 몸값과 소프트웨어의 합성어로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이를 인질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pdf파일이 열리지 않을때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영문의 확장자가 변형되어 열리지 않는다면 이것은 모두 랜섬웨어에 전염된 까닭입니다. 문서들을 암호화시켜 열 수 없게 만드는 것이 랜섬웨어의 전형적인 수법으로 이를 되돌릴려면 돈을 지불해야 합니다.

 

 

 

복구키를 받는 것은 국내에서 불가능하고 대행식으로 진행됩니다. 아마도 이 랜섬웨어를 만든 해커들만이 할 수 있겠죠. readme라는 이름의 파일은 해커들의 경고장으로 그들과 접촉을 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빈다. 고유 키값과 견적을 확인할 수 있는 주소도 있습니다.

 

고유 키값으로 중복감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토르브라우저를 설치 후 주소를 검색하면 해커가 요구하는 문서의 값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주소로 해당금액을 송금하면 복구를 시켜준다는 경고문구도 있습니다. 그들이 요구하는 것은 한화로 약 100만원 이상입니다.

 

 

견적 확인시에 6일 안에 입금을 요구하고 그때까지 입금이 되지 않으면 금액은 2배로 늘어납니다. 꼭 필요한 데이터가 있을 경우 가능한 정해진 기일안에 입금해서 복구화를 시도해볼 수 있겠습니다만 100% 해결이 된다고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예방 방법

 

 

pdf파일이 열리지 않을때 이것이 해커들의 소행임을 알았을 때는 사실 늦은 감이 있지만 이후 재발 방지를 위해서라도 예방 방법을 알아둬야 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보안이 약하니 크롬이나 파이어 폭스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백신 프로그램도 최신을 유지하고 이중 백업도 기본입니다.

 

 

컴퓨터에 외장하드를 연결해서 감염되지 않은 데이터를 백업받는 것도 중요합니다. 지우 잠금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회사 네트워크 공유 사용중이라면 공유를 해제해야 합니다. 미리 미리 데이터 백업을 해놓은 습관을 추천합니다. 백신 프로그램도 부지런히 업데이트를 해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pdf파일이 열리지 않을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공유했습니다. 단순히 프로그램이 없어서 열 수 없는 것이라면 쉽게 해결이 되지만 랜섬웨어에 의한 것이라면 좀 복잡합니다. 복구업체에서도 복구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