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카드납부 메뉴얼
- 나만의 도서관
- 2020. 9. 6. 22:15
보통 전기요금의 경우 자동이체가 되어 있거나 아파트 관리비에 포함되어 나오니 신경을 쓸 일이 별로 없습니다. 그런데 저의 경우 최근에 가족의 전기요금을 대신 납부해야 하는 일이 생겼는데, 이때는 별도로 납부를 하는 방법 밖에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매번 은행까지 발품을 팔아야 하는 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방법을 찾던 중 전기요금 카드납부가 가능한 것을 알았습니다. 알아두면 편리하겠죠?
납부 방법
전기요금 카드납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지서 왼쪽 상단에 있는 고객 번호입니다. 참고로 고객번호는 10자리로 이 번호를 조회해서 전기요금 카드납부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고객번호를 모를 경우 한전 어플이나 이메일 지로 영수증으로 본인 인증을 해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한전 어플의 명칭은 스마트 한전입니다. 앱스토어, 플레이 스토어 모두에 있으니 다운받아 설치를 합니다. 어플 메인 화면에 고객번호 찾기 서비스가 있습니다.
아파트는 통합으로 청구가 되기 때문에 관리사무소를 통해야 합니다. 본인 인증하면 고객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전기요금 카드납부를 위해 포털 검색창에 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을 검색합니다. 홈페이지 메인 페이지에서 요금 납부가 보입니다.
다른 메뉴를 살펴보면 우리집 전기요금 미리보기나 상제조회 등은 평소 요긴하게 사용할만한 메뉴가 아닌가 싶습니다.
요금 납부 방법에는 인터넷, 자동납부, 지정/가상계좌/편의점, 금융기관, 카카오페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전기요금 카드납부를 할 것이므로 인터넷을 선택하고 신용카드 납부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신용카드는 별도의 수수료 없이 선불카드(기프트카드) 아니라면 모든 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전기요금 인터넷 납부 창이 뜹니다. 여기서 필요한 것이 앞에서 설명드렸던 10자리의 고객번호입니다. 고객번호에 나의 고객번호를 넣고 조회합니다. 조회된 금액을 신용카드 결제 버튼을 클릭해 납부하면 전기요금 카드납부가 완료됩니다.
신용카드 포인트 납부
포인트 납부가 가능한 신용카드는 신한카드, 국민카드, 하나카드, 롯데카드, 제주카드, 씨티카드, 농협NH카드, 삼성카드입니다. 납부할 요금이 잔여 포인트보다 많다면 포인트를 전액 차감 후 잔여 금액에 대해서 신용카들 납부가 가능합니다.
카드사별 포인트 수납의 조건은 상이한데 보통 잔액 1포인트부터 사용가능하지만 롯데카드는 1,000포인트 이상 있어야 사용 가능하고 개인카드 회원인 경우만 사용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포인트 사용은 결제창에서 신용카드를 고르고 포인트 사용 부분에 체크해주면 됩니다.
수도요금 카드 납부
전기요금 카드납부 방법에 대해 알았으니 이제 수도 요금도 카드로 내볼까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내용입니다. 납부를 위해서는 인터넷 지로에 접속해야 합니다.
인터넷 지로는 금융결제원의 통합납부서비스로 지로요금, 재산세 등 지방세, 국세, 범칙금, 사회보험료, 공과금 모두 납부가 가능한 사이트입니다.
납부고객용 인터넷 지로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지방세, 세외 수입 부분에 상하수도 요금 메뉴가 보입니다. 그런데 이 서비스는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회원이 되면 정말 편리하기 때문에 미리 해두는게 좋습니다 이때 본인 인증서로 본인 인증을 거쳐야 합니다.
행정구역을 선택한 후 전자납부번호를 입력 후 조회합니다. 전자수용가번호나 고객번호로 조회할 수도 있습니다.
이 번호들은 매달 오는 고지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지서 확인 후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결제 후 취소가 불가하고 본인 명의로만 결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가 매달 사용하는 전기요금과 상하수도 요금 카드로 내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알고보니 전기요금 카드납부 정말 쉽죠? 한 번만 해보면 이후로는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종종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만의 도서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제차 종류 가이드 (0) | 2020.09.08 |
---|---|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추천 입문용 (0) | 2020.09.07 |
공증시 필요서류 안내 (0) | 2020.09.04 |
자동차세 조회 순서 (0) | 2020.09.03 |
그래픽카드 확인방법 가이드 (0) |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