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d 명령어 가이드
- 나만의 도서관
- 2020. 9. 29. 16:35
컴퓨터의 백미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해 다양한 업무를 보고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원하지 않아도 cmd 명령어를 접하게 됩니다. cmd는 command의 약자로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즉 명령줄 해석기 프로그램이죠.
cmd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키와 R키를 동시에 누른 후 실행창에 cmd를 입력하면 됩니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cmd 명령어에는 뭐가 있을까요?
cmd 명령어 사용법
앞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cmd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키와 R키를 동시에 누르면 됩니다.
이런 단축키도 많이 알아두면 정말 편리합니다. 윈도우키와 R키를 동시에 눌러 뜬 실행창에 cmd를 입력 후 엔터를 치면 까만 윈도우 도스창이 뜹니다.
여기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되는데, 생각보다 명령어에 대해 알지 못하는 유저들이 많습니다. 게다가 필요한 명령어도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이때 help를 입력하면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명령어들이 나열됩니다. 이 중에서 필요한 걸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종류
드라이브 이동을 할 수 있는 명령어는 원하는 드라이브 명: 입니다.
기본 드라이브가 c 드라이브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드라이브로 이동하려면 해당 드라이브 명칭을 입력하면 됩니다. 저의 경우 c 드라이브 외에 D와 E드라이브가 있어 모두 이동해 보았습니다.
드라이브 이동 뒤에는 해당 드라이브 내의 폴더 내용을 확인해보는 cmd 명령어가 필요합니다. 이때는 dir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그러면 해당 드라이브에 접속했을 때 보여지는 것처럼 하위 폴더와 프로그램, 사진 등이 모두 보입니다.
불필요한 파일을 여기서 지울 수 있는 명령어도 있습니다. 명령어는 del로 del c:*.*는 c 드라이브 내 모든 파일을 삭제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파일만 삭제하고자 한다면 del c:test1.txt 처럼 필요한 파일만 적어주면 됩니다.
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md입니다. 원하는 드라이브로 이동 후 md testfolder 를 입력하면 해당 드라이브 안에 testfolder라는 폴더를 만들라는 명령어입니다. 까만 창에서 빠져나와 해당 드라이브에 들어가니 정말 폴더가 생겼습니다.
파일 이름을 바꾸는 명령어는 ren 입니다. 사용 방법은 ren 입력 후 기존의 파일이름과 바꾸고 싶은 파일 이름을 순서대로 입력하면 파일 이름이 변경됩니다. 까만 창에서야 명령어가 제대로 됐는지 확인이 되지 않지만 실제 폴더에 들어가보니 신기하게도 파일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복사 명령어 copy도 있습니다. e 드라이브 내의 test라는 폴더를 복사하기 위해서 입력할 명령어는 copy e:₩ test.txt c: 입니다. e 드라이브 안의 test.txt 파일을 c드라이브로 복사하라는 명령어임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복사할 때 다른 이름으로 변경해서 복사할 수도 있습니다. test1이라는 파일을 test2로 변경해서 복사한다고 하면 copy e:test1.txt c:test2.txt 라고 적어주면 됩니다.
cmd 명령어 중에서 자주 사용하는 유용한 명령어가 있습니다. 바로 shutdown입니다. 이 명령어는 정해진 시간 후에 컴퓨터를 종료하는 것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shutdown /s /t/3600 입력한다면 이것은 60분 후에 컴퓨터를 자동종료하라는 뜻입니다. 즉 시간은 초 단위인 거죠. 이를 취소하고 싶을 때는 shutdown -a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잃어버린 와이파이 비번을 알아보기 위해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netsh wlan show profiles를 입력하면 검색되는 모든 와이파이가 리스트됩니다. 여기서 비밀번호를 알고 싶은 와이파이 이름을 넣어 netsh wlan show profiles iptime key=clear 명령어를 넣습니다.
오늘은 다소 낯선 cmd 명령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과거의 저는 이 명령어의 쓸모에 대해 무지했습니다. 이번 기회에 배우고 나니 생각보다 유용하게 활용한 여지가 있어 배워볼만 하다고 느꼈습니다. 특히 와이파이 비번 알아내는 건 잘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만의 도서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소서 쓰는법 공식 (0) | 2020.10.07 |
---|---|
xm3 결함 발표 (0) | 2020.10.06 |
법인 설립 절차 안내 (0) | 2020.09.28 |
스피커 소리가 안나요 원인은 (0) | 2020.09.27 |
상속세 신고기간 체크 (0) | 2020.09.25 |